구글의 광고시장 지위 남용
구글이 온라인 광고시장에서의 지배적 지위 남용을 이유로 프랑스로부터 벌금 2억 200만 유로(한화 약 3000억 원)을 부과받았습니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프랑스 공정거래위원회 격인 경쟁당국(FCA)은 7일 "구글의 광고 관행이 경쟁사들에 불이익을 줬다"며 이같은 벌금 부과를 결정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FCA가 지적한 문제는 구글의 광고 관리 플랫폼인 '애드 매니저'와 구글의 온라인 광고 거래 소인 '애드 익스체인지(AdX)'간 특혜 제공입니다.
온라인 광고시장에서는 실시간으로 광고주에게 광고 공간이 판매됩니다. 특정 미디어가 인터넷, 모바일 앱 등에서 광고 공간을 판매할 때는 여러 회사가 동시에 참여해 경매가 이뤄지게 됩니다. ACF 조사 결과 구글이 구축한 시스템인 '애드 매니저'와 AdX는 경매 전 각종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였습니다. 애드 매니저가 예상 낙찰가 등의 데이터를 AdX에 전송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FCA 조사가 시작된 시기는 2019년으로 당시 미디어 황제 루퍼트 머독이 소유한 뉴스코페레이션과 일간 르피가로 등 프랑스 언론들이 "구글이 시장지배력을 남용해 자사의 광고 판매 플랫폼을 우대한다"며 FCA에 고발하였습니다.
이자벨드실바 FCA 위원장은 "이번 제재는 온라인 공고 사업이 의존하는 복잡한 알고리즘 경매 과정을 들여다본 세계 최초의 결정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습니다.
구글은 "FCA 결정에 항소하지 않고 받아들일 것"이라며 "향후 3년간 AdX의 잘못된 광고 관행을 고치고 당장 내년 1분기(1~3월) 내에 일부 수정해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구글이 자사 광고 운영 방식을 개선하겠다고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 입니다. 구글은 지난해 광고로만 1816억 9000만 달러(한화 약 202조 원)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저 또한 구글의 광고 플랫폼인 애드센스를 통해 부수익을 벌고 있습니다. 블로그, 홈페이지등 온라인 상의 개인이 가진 공간에 구글의 애드센스 광고를 할 때 N사의 애드포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고, 컨텐츠 속에 광고를 넣을 때 콘텐츠 제작자와 구글간 6:4의 비율로 광고 수익을 나눠주기에 개인도 고수익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준 구글을 좋아했습니다.
그런데 이번 특혜 논란으로 인해 구글의 기업이미지가 조금 나빠질 것 같습니다. 그래도 항소하지 않고 수정 시행하겠다는 구글의 용기 있는 결정에는 박수를 보내드리고 싶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여러가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출시예정 아이폰13 가격 사상 첫 동결 (0) | 2021.06.29 |
---|---|
가성비 좋은 8K 미니 LED TV가 나왔다! (0) | 2021.06.13 |
맞춤형 가전 LG 오브제 VS 삼성 비스포크홈 당신의 선택은? (0) | 2021.05.14 |
인기 캐릭터 이모티콘 만들면 중소기업 순준 매출이 나온다! (0) | 2021.05.14 |
8월 놀라운 갤럭시 Z폴드3 & Z플립3가 온다!(S펜탑재, 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 (0) | 2021.05.10 |